예술적 가치의 정형화에 무딘 편이다. 도식화 내지 해부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지루함. 마지막 층계엔 눈길조차 주지 않은 채 무관심의 선행을 빌어 직관적 경험의 충족선에서 대상과의 행복한 거리감을 유지하고픈 무책임함. 정서적 감상선에서 만족하며 인생을 반추하고 때때론 매개와 틀의 깔맞춤에 키득일 수 있음에 만족할 뿐, 예술적 비평을 둘러업을 깜냥도 욕망도 없는 인간이다. 훗날 구원처럼 다가온 영화란 취미를 내 생의 기억의 서랍에서 찾아볼 순간이 온다면, 그저 그 견출지엔 '감상과 감상 그리곤 공유' 라 적혀있길 바랄 뿐이다. 별볼일 없을 수도 있는 '예고편'의 장에 이다지도 거창히 삶의 지향성까지 끌어다 쓰는 이유는 날이 갈 수록 절감하게 되는 무시무시한 정보의 늪 속을 안전히 헤엄치기 위해 몸과 마음을 가벼이 하기 위함이다. 


대면 후 나누고픈 마음 뿐이다. 영화란 대상을 바라봄에 있어 단 두가지 즐거움에 집중하고 싶다. 하늘에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을 순수한 애정으로서의 1차적 경험. 그리곤 주체할 수 없는 포만감으로서 보상되는 비옥한 공유지의 경작. 그러한 존재가치를 스스로 증명하기 위해선 바지런히 단서의 씨앗을 공개적인 장에 뿌림이 마땅하단 생각이 들었다. 나 자신의 취향적 호기심에 자부심을 느끼는 편이다. 필름속에 박은 듯 세밀히 정물화를 그려낼 재능은 없지만 역마살을 운명삼아, 갖은 정보를 동여맨 후 척박하고 편향된 작금의 취향풍토에 약간의 단비를 흩뿌릴 자신 정도는 있단 소리다. 우리는 세상의 모든 정보를 손가락 끝으로 접할 수 있으리라 맹신하는 시대를 살고있다. 이상적 어림짐작 하에서 우리들은 무성한 과실나무 아래에 누워 코앞에 떨어질 '그것'들을 태평스레 배불리 베어물 수 있으리라 믿고있다. 그 과실들 속 가득찬 편향과 독점의 맹독은 인지하지 못한 채 말이다. 호기심을 마비시키고 사리분별을 방해하는 편협한 독성들 말이다. 편의가 낳은 나태한 안도감의 스펙트럼은 이전세대가 보여준 치열한 비디오 추젹전에 비하면 초라한 허울일 뿐이다. 발품을 통한 경험적 시야각의 확보가 절실하다.


제 1의 논리에 종속되는 순간 순수성은 휘발된다. 순수한 호기심의 상실속에서 원석을 품은 소수의 뜻깊은 공간들은 굴뚝마저 덮어버릴 정도의 가치없는 광고와 단문을 위한 피상적 전시문구의 폭설에 뒤덮여 소통의 산소부재를 겪고있다. 설상가상으로 영화는 전 국민의 취미인 동시 예술과 상업의 경계에 봉곳 솟아오른 문지방이다. 빈도는 높고 거슬림은 잦다. 이러한 특성은 무의미한 문답의 반복에 가속만을 더해준다. 우리는 거대한 광산앞에서 두세가지 터널만에 집요하리만큼 몰두하고 있다. 호기심과 다양성 그리고 미래를 위한 가치있는 공유가 절실한 시점이다. 


다양한 방도중 하나로서 예고편의 재조명에 주목하고 싶다. 영화를 예술로 규정함에 있어 가장 초라한 지위를 갖춘, 트레일러의 제 3자적 일회성을 뻔뻔히 객관성이라 착각하며 끊임없이 발견하고 공유하고 싶다. 강박에 가까운 정보욕으로 인해 다수의 경로와 매력적인 지름길을 발견했다. 앞으론 내 자신이 받는 자극과 호기심의 무게와 형태를 고스란히 이 곳에 모사하고 싶다. 예고편의 모습은 다소 상업적이고 때때론 본질을 오해하게 만들 수도 있겠지만, 자신의 여건하에서 최상의 고민을 통해 만들어낸 상품이기도 하니 깡그리 그 가치를 무시하긴 어려울 것같다. 어제도 그러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기에 주체하기 힘든 호기심을 필사적으로 기록해보고자 한다. 타이틀 조차 생소한 고전부터 내후년을 기약해야할 신작에 이르기까지, 아무런 경계없이 잡아두고 싶다. 대한민국의 극장가라는 곳은 먼지만큼이나 하찮은 다양성을 띄는 장터이니 신작이니 구작이니 어차피 그 감상의 무대는 방구석이 될 가능성이 높을테니.







Chapter.1 아방가르드 혹은 컬트의 부스러기들




지옥 (1960) - 나카가와 노부오


대학생인 시로는 야지마 교수의 딸 유키코와 결혼 약속을 한 날, 친구 타무라와 차를 타고 가던 중 실수로 사람을 치고 도주를 한다. 하지만 자수를 결심한 시로는 유키코와 택시를 타고 가다 교통사고로 유키코를 잃는다. 그는 술로 시간을 보내던 중 어머니가 병에 걸렸다는 소식에 집으로 돌아온다. 거기서 유키코와 많이 닮은 화가의 딸인 하숙생 사치코를 만난다. 그러던 어느 날 야지마 교수 부부와 타무라가 시로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양로원의 10주년 기념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시로를 방문한다. 그러나 모든 메인 캐릭터들이 모인 가운데 그들은 각자의 죄목에 따라 지옥으로 떨어진다. 영화의 전반부는 메피스토와 같은 인물들의 인간적 충돌과 대립을 그리는 “살아있는 지옥”이라고 할 수 있으며 후반부는 피바다를 비롯하여 불교 그림에서 영감을 얻은 지옥 이야기의 현실감 나는 묘사가 인상적이며 독창적인 편집으로 완성되었다. <지옥>은 보는 이에게 놀라움을 선사할 작품임에 틀림없다.(도쿄 필름엑스 카탈로그)







코야니스카시 (1983) - 갓프레이 레지오


카시 삼부작의 첫 작품. ‘코야니스카시’란 호피 족 인디언 말로 ‘균형 깨진 삶(Life Out of Balance)'라는 뜻이다. 뚜렷한 내러티브도 대사도 없이 그저 음악과 영상으로만 되어 있는 이 영화는, 고대 인디언들이 그린 벽화에서 시작한다. 이후 광활하고 경외로운 대자연, 그리고 인간이 약간의 가공을 가한, 노동하는 인간과 함께 하는 자연을 그린다. 이후 정신없이 빠른 속도로 굴러가는 도시를 묘사하는 씬으로 오면, 자연과 완전히 등을 진 채 오롯이 인간이 만든 인공적인 환경 속에서 속도와 파괴에 지배당하는 인간의 도시문명이 대비된다. 도시 문명의 속도는 점점 심해져 클래이맥스에서는 거의 기하학적 무늬로 표현되며 현기증을 준다.


영화는 패스트 모션과 슬로우 모션을 적절히 사용한다. 자연경관을 찍은 씬에서도 패스트 모션은 사용되지만, 이것은 각종 구름의 빠른 모양들을 아름답게 표현할 뿐 자연경관 그 자체는 언제까지나 그대로, 변함없이 존재한다. 그러나 도시문명에서의 패스트 모션은 완벽한 혼란을 보여준다.


슬로우 모션은 물결의 흐름, 바다의 모습 등에서 사용되었다. 은빛으로 반짝이다 못해 거의 방송중이 아닌 TV화면의 잡음처럼 보이는 물결빛 역시 기하학적 아름다움을 주지만, 도시문명에서 보인 것처럼 ‘혼란’이나 ‘현기증’과는 거리가 멀다. 도시 문명에서의 슬로우 모션은 인간의 도시문명과 ‘전쟁’과의 관계, 그리고 ‘파괴’로 치닫는 광경을 표현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화면이 필립 글래스의 아름답고 영적인 음악과 어떻게 서로 조응을 이루는지 살펴보는 것도 이 영화 감상의 키포인트다. (부천 판타스틱 영화제 소개글)








포비든 존 (1982) - 리처드 엘프만


The bizarre and musical tale of a girl who travels to another dimension through the gateway found in her family's basement.


A mysterious door in the basement of the Hercules house leads to the Sixth Dimension by way of a gigantic set of intestine. When Frenchy slips through the door, King Fausto falls in love with her. The jealous Queen Doris takes Frenchy prisoner, and it is up to the Hercules family and friend Squeezit Henderson to rescue her.







그림자들 (1959) - 존 카사베츠


베니스 영화제 비평가상(1960). 카사베츠는 60년대 가장 중요한 미국 작품으로 꼽히는 이 데뷔작에서 뉴욕의 타임 스퀘어라는 사막을 비추는 네온 불빛 속의 부유하는 밤의 사람들 -여자들, 재즈 뮤지션, 비트족- 의 맥박을 재즈의 즉흥연주처럼 담아내고 있다.







베니싱 (1988) - 게오르지 슬루이저


Rex and Saskia are on holiday, a young couple in love. They stop at a busy service station and Saskia disappears. Rex dedicates the next three years trying to find her. Then he receives some postcards from her abductor, who promises to reveal what has happened to Saskia. The abductor, Raymond Lemorne, is a chilling character to whom Rex is drawn by his intense desire to learn the truth behind his lovers disappearance. The truth is more sinister than he dared imagine.







로슈포르의 연인들 (1967) - 자크 데미 


[눈부실 정도로 아름다운 뮤지컬로 보이지만, 극도의 화사함이 기괴하게 느껴져서 이 곳에 동봉. 어느 외국 매체의 글을 읽다 봉준호의 <괴물>을 컬트영화라 칭하는걸 봤다. 어차피 모호한 기준의 영역이니 수용자의 상황과 여건에 따라 제멋대로 받아들여도 괜찮을것 같다.]


로슈포르의 쌍둥이 자매 델핀과 솔랑쥬는 무용과 피아노를 가르치며 언젠가 다른 곳에서 멋진 사랑을 하게 되리라 꿈꾸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미국인 작곡가 앤디가 친구 시몽을 찾아 로슈포르에 오는데…. 실제 자매인 카트린 드뇌브와 프랑수아즈 도를레악이 쌍둥이 자매로 출연하여 매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뮤지컬 영화. 로슈포르 거리 곳곳에서 펼쳐지는 춤과 노래의 향연 또한 잊을 수 없는 즐거움이다.







헤드 (1968) - 봅 라펠슨


The Monkees are tossed about in a psychedelic, surrealist, plotless, circular bit of fun fluff.


Running in from seemingly nowhere, Micky Dolenz, Davy Jones, Michael Nesmith & Peter Tork - better known collectively as The Monkees - disrupt a bridge opening ceremony. From where and why did they come to disrupt the proceedings? They were filming a series of vignettes in several different genres, including a wild west sequence, a desert war sequence, a Confederate war sequence, and a science fiction sequence. They disagree with much of what is happening around them, and try to figure out how to escape the oppression they feel - symbolized by a big black box in which they are seemingly imprisoned - by the forces around. That oppression is often shown in the form of "The Big Victor Mature".







익시젼 (2012) - 리처드 베이츠 주니어 (노골적으로 폭력적이며 때때로 잔혹하다)


폴린은 다른 사람들을 수술하는 환상에 젖어 살고 있다. 그녀의 끔찍한 환상은 친구들과 가족들을 불편하게 하고 낭포성 섬유증을 앓고 있는 여동생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녀를 이해하지 못하고 급기야 그녀의 집착은 피와 살점이 낭자한 현실로 옮겨지는데…10대 소녀의 성장통과 악몽 같은 내면이 환상과 현실을 오가는 이미지로 펼쳐지는 독특한 스타일의 영화.






스페셜 (2006) - 할 하버만, 제레미 패스모어


주차 단속원 레스는 개발 중인 우울증치료제 연구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삶을 얻게 된다. 바로 약의 부작용으로 인해 슈퍼 영웅의 초능력을 갖게 된 것. 그는 보잘 것 없던 삶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슈퍼 영웅이 되기로 하지만 그건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니다. 여기에 검은 옷을 입은 제약회사 직원들이 레스를 추적하면서 일은 더욱 복잡해져 가는데...<스페셜>은 소수의 특별한 사람 혹은 우리 모두에 관한 영화다.







스톱 메이킹 센스 (1984) - 조나단 드미


An innovative concert movie for the rock group The Talking Heads.


David Byrne walks onto the stage and does a solo "Psycho Killer." Jerry Harrison, Tina Weymouth and Chris Frantz join him for two more songs. The crew is busy, still setting up. Then, three more musicians and two back-up singers join the band. Everybody sings, plays, harmonizes, dances, and runs. They change instruments and clothes. Bryne appears in the Big Suit. The backdrop is often black, but sometimes it displays words, images, or children's drawings. The band cooks for 18 songs, the lyrics are clear, the house rocks. In this concert film, the Talking Heads hardly talk, don't stop, and always make sense.









스토리 텔링 (2001) - 토드 솔론즈


Storytelling is comprised of two separate stories set against the sadly comical terrain of college and high school, past and present. Following the paths of its young hopeful/ troubled characters, it explores issues of sex, race, celebrity and exploitation







체인드 (2012) - 제니퍼 린치


8살난 팀과 그의 엄마는 연쇄살인범인 택시기사 봅에게 납치를 당한다. 봅은 팀이 보는 앞에서 엄마를 잔인하게 살해한다. 하지만 이것은 팀의 시련의 시작일 뿐이다. 봅은 팀을 집에 가둬 놓고 자신이 납치해 살해한 여성들의 시체를 치우게 한다. 별 저항없이 봅이 시키는 대로 하는 팀, 어느덧 세월이 흘러 청년이된다. 연쇄살인범이 자신이 납치한 어린아이를 또 다른 연쇄살인범으로 키우려고 한다는 <사슬>의 주제는 수많은 다른 연쇄살인범 영화와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이 특이한 소재를 제니퍼 린치 감독은 관객들이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잘 소화해 낸다. 그녀의 전작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에서 보여준 독특하면서도 기괴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그녀의 연출력은 이 작품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아무리 소재가 특이하고 흥미롭다 한들 어떤 감독이 연출하는지에 따라 작품의 완성도는 달라진다. 관객들로 하여금 처음부터 마지막 엔딩까지 흥미를 잃지 않고 작품에 몰입할 수 있도록 만든 제니퍼 린치의 연출력은 성공적이라고 볼 수 있다. (제 17회 부산국제영화제)







알프스 (2011) - 요르고스 란티모스


<송곳니>(2009, 칸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대상)로 급부상한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최신작. 간호사, 체조선수, 그의 코치 등이 결성한 ‘알프스’라는 이름의 조직이 있다. 이 조직은 유족들의 돈을 받고 그들의 딸, 아내, 애인 등 죽은 자들의 빈 자리를 대신 채워주는 일을 한다. 현대 사회 속 개인의 고독과 필요를 개성 있게 다룬 수작.








자두 치킨 (2011) - 마르얀 사트라피, 빈센트 파로노드 


마지막 영화는 유일하게 감상을 마친 작품이다. 참으로 아름답고 묵직한 이야기다. 찰리 카우프만이 프랑스로 건나가 <아멜리에>의 스탭들을 데리고 영화를 찍는다면, 아마... 이것과 비슷한 모습이 아닐까.


Nasser-Ali, a talented musician, loses the will to live after his wife breaks his beloved violin during an argument. He searches for a replacement, and finding none that sounds quite the same, he vows to die. Eight days later, he does. This is the story of his last week of life, where we see flashbacks and flash forwards of his previous life and his children's futures. We also see appearances of a nude Sophia Loren as well as the angel of death, Azarel. As we see his life, we realize exactly why he chose to end it and the profundity of this choice.
























Posted by Alan-Sh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