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강점은 접근의 용이성에 있다. 감상과 소유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창작자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경험'토록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사유로서 보충되는 자본적 관계가 형성되며 트랙은 늘어나고, 아티스트는 생명을 연장하게 된다. 이런 배경 하에서 리스너들은 충분히 경험하고 체험하며 스스로의 취향과 선호를 굳혀가게 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선 체계적인 형태로 넓직한 스펙트럼을 수용하는 공유의 장이 부족해 보이지만 외국에는 음악의 이러한 추세와 특성을 잘 활용한 다양한 채널들이 존재한다. 단순히 음악만을 개인 선호의 틀에 맞춰 나열하는 블로거부터 뉴스와 다양한 칼럼을 꾸려가며 지속적으로 리스너와 뮤지션의 인연을 성사시켜주는, 제법 규모가 큰 싸이트들도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Pitchfork 의 규모와 태도를 좋아한다. 사실 전혀 관심이 없는 힙합 장르 까지도 편입시킨 채널이기에 약간의 아쉬움은 있지만 이토록 신속하고 다양한 동시 유익하기까지 한 웹페이지가 있다는건 참으로 즐거운 일이다.


2012 년의 막도 거진 다 내려왔다. 해와 해를 구분짓는 붉은 커튼이 무대 표면에 닿으려는 듯 모든 것이 아쉽고 씁쓸한 요즘, 은근히 무의미해 보이지만 그렇다고 빼놓고 넘어가기엔 아쉬운 놀이가 있다. 각자의 주관으로 줄 세우는 한 해의 순위. 자의식이 흘러넘치는 위선적인 경쟁이라 폄하하지 말고 단순히 몰랐던 정보와 존재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좋은 인연으로 여기며 살펴보도록 하자.


뮤지션을 본격적으로 찾아듣기 시작한건 채 1년도 되지 않는다. 잡다한 매체들을 경유하며 우연히 접하게 된 정보를 유지하기에도 벅찼기에 따로 시간을 내어 뮤지컬 아티스트의 색인을 넘겨가는 일 까진 시도하지 않았었는데, 우연한 기회를 통해 정보를 찾고 취향을 굳혀가다 보니 2012년은 음악적 발견으로 한없이 즐거웠던 순간으로 기억되버릴 것 같다. Pitchfork 에서 선정한 올해의 베스트 앨범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니 절반가까운 앨범들은 이미 들었거나, 현재까지도 꾸준히 청취중인 것들이 많았다. 아무런 기준도 없이 막무가내로 파헤치던 음악적 탐사가 나름 괜찮은 모험이었던것 같아, 은근히 기분이 좋다. Link - Pitchfork, The Top 50 Albums of 2012


50개의 앨범 중에서 좋아하는 곡들을 몇 개 추려서 올려본다. 어떤 경험이건 결국 자신을 위해 존재하고 호흡한다. 영화가 됐건 음악이 됐건 문학이 됐건, 편견없는 마음으로 접한 후 아니다 싶으면 정중히 무시하면 된다. 경험하고 경험하고 공유하자.





   

























잘 들은 앨범들을 리스트에서 만나는 일은 언제나 기쁜 법이다. 허나 적은 규모의 홍보와 절대적으로 불리한 장르적 도전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아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까지 언급되는 모습을 보게될 땐 그 기쁨은 상당하다. 이번 Pitchfork 리스트 상위권에 랭크된 캐나다 밴드 'Godspeed you ! Black emperor'의 4번째 스튜디오 앨범 <Allelujah! Don't Bend! Ascend!> 는 특별한 주목을 받은 성공적인 앨범은 아니지만, 실험적이고 놀라운 순간들로 가득찬 소리들이다. 20여분 짜리의 2트랙과 6,7 분 가량의 2트랙, 총 4개의 트랙으로 이뤄진 이 앨범은 지난 10여년간의 휴지기를 거친 후 던져진 반가운 신보다. 물론 연주곡이다. 언젠가 기회가 될때 방안 가득 스피커 볼륨을 올린 상태로 이 트랙을 들어보시라. 사운드가 크면 클 수록 더한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밴드명은 <까미따윈 몰라>를 연출한 일본의 영화감독 야나기마치 미츠오의 동명 다큐멘터리(76년작)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Posted by Alan-Shore :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신작 <쟝고 언체인드>의 사운드트랙을 감상. 첫번째 파일은 간략한 광고에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이 직접 코멘터리를한 사운드트랙 앨범에 관한 정보들이니, 본격적인 앨범의 감상은 두번째 파일부터 플레이하면 청취가능. 북미에서야 크리스마스인 오늘, 대대적으로 개봉하겠지만 국내 흥행이 신통치 않았던 전례를 생각해보면 몇달의 격차가 있을테니 트레일러 반복 감상에 지친 사람들은 사운드트랙들을 미리 청취하며 영화의 분위기를 몸에 익히는 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다. 사실 일반 팬들에겐 다소 생소한 장르이고 약간은 거리감이 느껴지는 노예제에 관한 이야기이니, 어느정도의 워밍업이 필요하지 않을까. 







Posted by Alan-Shore :

San Fermin - Sonsick

2012. 12. 14. 17:48 from Listen














                  






















이게뭐야. 가끔씩 지나치게 기분이 좋으면 욕을 수식어로 집어 들고픈 벅찬 기쁨을 느끼는데, 이 경우가 딱 그렇다. 브루클린에서 활동하는 4인조 밴드 San Fermin 의 싱글 'Sonsick'. 몇번이나 돌려 들었는지 모르겠다. 내가 사랑할만한 방식이 아님에도 감상을 멈출 수가 없다. 고작 이 땅위에 떨군거라곤 이 싱글이 하나. 2월이면 셀프타이틀 앨범이 나온다. 신보를 기다리는 즐거움. 하나가 더 추가되었다.   


















Posted by Alan-Shore :

Cat's eye - Cat's eye

2012. 11. 30. 01:55 from Listen




































I know I'm not the prettiest girl
I'm realistic
I know, I know
I'm not stupid

And I can see she's better than me
She's better than me

I know I have no right to feel this way
I'll snap out of it
I know I'm not thinking straight
I'm not being serious

It's just that when I see you holding her hand
I feel like dying, dying, dying
Then I stop and think

I know I'm not a pretty girl
Be realistic
I know, I know
'Cause I'm not stupid

And I know she's better than me
She's better than me
I can see she's better than me
She's better than me







가디언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I'm not stupid' 라이브 영상은, 정말이지 그 순박함과 청순함에 자꾸만 마음이 가는 '현장'이다. 욕을 섞어 칭찬해주고픈 욕망 마저 들끓게 만든다. 악의없는 욕의 수식으로 완결되는 감탄의 상찬 ! 지금껏 나온 앨범이라곤 셀프 타이틀 데뷔앨범 한 장이 전부다. 다양한 색까진 아니여도 확실히 상반된 분위기의 트랙들로 양분된 감이 있다. 위의 트랙 처럼 달달한 순수성으로 사근거리다가도 이내 어둑한 분위기로 앙칼지게 돌아서 잔뜩 폼을 잡는 모양새다. 그러고보니 이 팀이 앞세우고 있는 고양이의 '그 것'과도 닮은 것 같다. 지멋대로 어둠속으로 기어들어가 고독을 즐기는 척 하다가도 언제 그랬냐는듯 인간옆에 달라붙어 최상의 위안을 주는, 속 모를 고양이의 삶. 오늘 주목할 파트는 부스스 졸린 눈을 비비며 침대에서 깻을때 내 발 밑에 달라붙어 쌔근쌔근 잠을 자고있는, 위안으로서의 고양이 눈이다. 비슷한 것들을 모아본다. 순차적으로 'I'm not stupid' 'The best person i know' 'I knew it was over'


   








 



 


Posted by Alan-Shore :

Toro Y Moi - Underneath the pine

2012. 11. 30. 00:42 from Listen











































티없이 맑은 Toro Y Moi의 두번째 정규앨범 <Underneath the pine>. 처음 접한 순간이 기억난다. 도서관에 앉아 책장을 넘기며 이어폰으로 무심히 듣던 중, 3번 트랙부터 였나 ... 연속되는 황홀함에 꼼짝없이 즐거워졌었던, 몸이 단단히 경직될 정도로 반가웠었던. 사실 얼마전에야 처음 알게된 아티스트인데 앞으로 몇달만 참으면 그의 3번째 앨범 <Anything in return>이 발매된다고 하니. 컨텐츠를 향유하는 일에 있어선 꼭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의 촉이 중요한것 같진 않다. 남들보다 뒤늦게 알게 되어 충분히 즐길만한 시간은 없었지만 뭐 신작에 대한 애절한 갈증도 그만큼 적게 느낀것일 테니. Toro 는 스페인어로 황소를 뜻하며 Y 역시 스페인에서 'And' 를 의미한다고 한다. Moro 는 프랑스어로 '나 (me) '를 뜻한다는데, 뭐 기대했던것 보단 특별할 것 없는 작명이다. 참고로 Toro Y Moi는 미국 아티스트 채즈윅 번딕의 스테이지 네임이다. 언제 들어도 서글퍼지는 이야기지만 그 역시 나와 동갑이다. 독창적인 아티스트와 내 나이가 같음을 느끼는 순간보다 더 괴로운 것도 없는 것 같다.     


아래의 영상들은 'Still sound'와 'Light black'의 라이브 영상들이다. 역시 위의 트랙들과 같은 앨범에 속한 노래들이다. 특히 두번째 영상인 'Light black' 라이브를 사랑한다. 사이키델릭한 느낌을 잔뜩 머금은 연출이 아닌가. 참으로 아름답고 포근하다. 이왕 말을 꺼낸김에 마지막에는 내년에 나올 3집 앨범에 대한 간략한 영상을 추가한다. 리스닝 파티의 풍경과 인터뷰를 엮은 소박한 자료다. 역시나 아름다워 보인다. 분명 그럴 것이다. 











Posted by Alan-Shore :

Kartell - Riviera

2012. 11. 28. 03:03 from Listen















































여기까지가 올해 발매된 Kartell의 ep <Riviera> 속 수록곡들. 동명의 타이틀곡 하나에 'Pantera' 리믹스 버전 하나 포함해서 총 5곡이 실려있는데, 뭐 이 3곡 만으로도 충분히 환상적이지 않은가. 1/4의 만족과 1/2의 덤덤함 그리곤 마지막 1/4의 허무함으로 종결되는 안일한 구성이 아니란 말이다. 비단 이 앨범 뿐 아니라 대부분의 곡들이 아름답더이다. 이제 아래로는 마구 던져보는 Kartell의 곡들. 프랑스 성님으로 알고 있는데, 감사하구만. Sound cloud 가서 제대로 들어볼 사람은 절로 가봐.













                                   





                                   




                                   


Posted by Alan-Shore :




















200곡 이상은 들은 것같다. 지난 한 주 간 새롭게 접한 앨범과 싱글 트랙의 수를 굳이 헤아려 본다면 그정도는 될 것같다. 운명과도 같은 직감으로 귀에 박혀버린 명반도 있었고, 특정한 시기에 이르러 기분을 전환코자 찾아보게될 썩 괜찮은 노래들도 있었다. 대부분의 호의와 몇번의 찡그림으로 간추려질 요 몇일간의 만족스런 음악적 탐험 중에서도 가장 독특하게 기억될만한 부분은 'Spirit quest journey' 를 접하던 순간이었다. 책상 위로 팔을 축 늘어뜨린 상태에서 고개만 살짝 앞으로 빼낸 후, 활용 가능한 모든 신경을 모니터에 집중 시켰다. 당시 접하고 있었던 시청각적 경험, 분명 세상에서 가장 투명한 상태의 자각없는 응시였다. 그러한 순백의 집중이 작동하던 동시 뇌의 다른 영역에선, 이같은 단순패턴이 촉발시키는 몽환적 기운이 사람의 감각을 송두리째 얼려버릴 수 있는 이유에 대한 진지하고 이성적인 사고가 함께하고 있었다. 항시 몇가지 집중이 제 무게를 양분하여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지만 이 경우는 완벽히 상반되는 성격의 행위들 이었으며 또한 그 과정에 있어서도 무엇하나 완전함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만한, 공존키 힘든 집중이었다. 이게 무슨 개소리인가 싶겠지만 뭐 대단한 일을 겪고 감동을 받아 떠들어대는건 아니고, 단지 태어나서 처음으로 느낄 수 있었던 '류'의 경험이었기에 그 특별한 감각의 순간을 기록하며 음악과의 인연을 더욱 돈독히 하곤싶단... 류의 잡설이다. 지극히 개인적인 우연으로 평생토록 기억하게될 이 음악은 뉴욕에서 활동중인 일러스트레이터 Ryan Mauskopf 의 음악적 자아인 Professor Soap 가 만들어낸 것이다. Professor Soap의 음악은 그의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얻을 수 있다. 몇십번이고 본 것 같다. 볼때마다 기분이 이상해진다. 




   




Posted by Alan-Shore :

Alabama shakes - Boys & Girls

2012. 11. 28. 00:12 from Listen




















































내가 노래를 하면 너는 놀랄거야. 깜짝 놀랄거야.


Artist : Alabama shakes

Album : Boys & Girls


Posted by Alan-Shore :










     




본래 음악이라는 것이 '아님 말구'의 정신이 흔쾌히 적용되는 분야이기에 가능한한 많은 수의 창구를 개방하고 싶다. 문화를 체험하고 컨텐츠를 수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많은 부분들이 변해가고 있다. 우리는 낱장의 앨범 속지가 권력이 될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다. 단순히 정보를 획득하고 지식을 소유하는 식의 선점 행위가 근사한 취향을 완성할 순 없는 시대란 말이다. 물리적 컨텐츠로 범위가 한정되던 시기에는 발품과 귓동냥을 통해서 시야를 무조건적으로 확장하려 애썼다면, 창작과 매개의 장벽이 허물어진 현 시점에선 컨텐츠를 획득하는 포용성과 더불어 넘쳐나는 정보 사이에서 자신의 취향과 호기심을 최적의 효율을 통해 선별해내며 쓸모없는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야의 축소가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의 배양은 분명 동류의 문화를 향유하려는 소수집단간의 활발한 공유를 통해서만 멋지게 완성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내가 아는 모든 창구를 개방하려 한다. 


아마추어 취미'인'의 숙명은 문어발식 자습을 통한 취향의 확장이다. 찰리 채플린이란 상식에 관심을 가지고 그의 세계 속으로 뛰어들었을때 대척점에 위치한 버스터 키튼의 존재를 알게 된다. 또한 세상의 모든 창작인은 취미전치주의의 과정을 겪었기에 작품 어딘가에는 그들을  한번에 엮을 수 있는 사조와 계보가 존재한다. 우리는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누군가의 문단에서 우연히 발견하게 된다. 비록 그 대상을 중점적으로 응시하지 않는 글이라도 스치듯 인지하게 되는 '무엇인가' 의 존재가 꾸준히 반복되었을때 비로소 우리는 취향의 폭을 조금 더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이곳에 음악 싸이트가 있다. 단순한 나열이 아니다. 개인의 취향이 응집된 공간 속에 추려진 선별 정보이다. 우리는 다양한 검색엔진을 통해 동일 컨텐츠를 제시하는 또 다른 취향인을 만나볼 수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우리가 빈번히 사용하는 유튜브의 경우도 소외된 카테고리로 조금만 시선을 돌려보면 우측에 펼쳐진 동류 컨텐츠의 신비로운 무한 확장을 경험할 수 있다 (이 공간은 통상의 웹페이지에 비해 몇배 높은 중력이 작용하는 곳이다). 그런식의 반복을 통해 알게 모르게 스쳐간 '존재'들이 먼 훗날 당신의 문화적 다양성을 지탱시켜줄 건전한 기반이 될 것이다. 




매달 150 곡 가량의 인디락 트랙을 묶어서 공유하는 곳이다. 깔끔하게 한달에 한번씩 인디락 카테고리 하의 모든 가능성을 이야기 하는 곳이다. 토렌트와 직접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음악을 올려주고, 유튜브를 통한 스트림 감상도 가능하다. 골라먹는 재미가 가득한  indie rock playlist


위의 영상은 이번달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된 나탈리 던의 'Araceli'다. 새로 올라온 리스트를 끄적거리다 우연히 듣게된 음악인데, 아직 데뷔 앨범도 나오지 않은 따끈한 신인이다. 내년 1월에 정규 앨범이 나온다고하니 꼭 기억해 둬야할 것 같다. 어쩜 이렇게 음성이 이쁠 수가 있는지.










Posted by Alan-Shore :






희안한 공통점이다. 여기 비슷한 시기에 공개된 두편의 뮤직 비디오가 있다. 뷔욕의 'Mutual Core'와 R.E.M.의 'Blue'. 각각 2011년에 발매된 <Biophilia> 와 <Collapse into Now> 에 수록됐던 곡들이다. 그러니 작년에 발매된 노래의 뮤직비디오가 이제서야 정식 공개된 것이다. 물론 저마다의 사정은 있다. 그리고 그 사정에 대한 배경 또한 비슷한 구석이 있어 더욱 흥미롭다. 홍보를 위한 연출가의 영입이 아니라 적당한 시기에 필연적인 인연이 닿아 완성된, 작품에 대한 일종의 자부심 내지 애정의 상징이 느껴진다. 일단 뷔욕의 'Mutual Core' 뮤직비디오 공개는 완전 생뚱맞은 일처럼 보이진 않는다. 5일 전에 릴리즈된 뷔욕의 리믹스 앨범 <Bastards>에 'Mutual Core'의 리믹스 트랙 2곡이 포함되어 있으니 말이다. 이 앨범은 그간 공개됐던 정규 7집 <Biophilia>의 리믹스 트랙들을 맨디 파넬의 리마스터링을 통해 한 곳으로 모은 것이라고 한다. 


matthew herbert's teutonic plates mix



These New Puritans Remix featuring Solomon Islands Song




리믹스 앨범이 나왔다해도 이번 뮤직비디오는 정규트랙 버전에 맞게 제작된 것이니 경과의 텀을 충분히 인정해야 할 것이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Mutual Core' 뮤비가 탄생하게 된 결정적 사유를 파헤쳐 본다면 앤드류 토마스 홍이란 이름과 대면하게 될 것이다. 그는 Delphic 의 'Doubt'를 연출한 뮤직비디오 연출가이자 기괴하고 아름다운 단편 <SOLIPSIST>를 탄생시킨 사나이다. 기사를 통해 접한 전언이나 작품의 공통성을 추려봤을 때 이번 뮤직비디오는 앤드류의 <SOLIPSIST>가 뷔욕에게 강렬한 자극을 전해준 결과 탄생된 결과물이라 판단된다. LA MoCA 의 관장 제프리 다이치의 주선에 의해 마련된 기회이지만, 그러한 배경을 떠나 순전히 작품에만 집중해 본다면 참신한 예술가의 영감이 위대한 뮤지션에게 신선한 자극을 미친 유쾌한 케이스라 여겨진다. 뷔욕의 뮤직비디오를 보기 전에, 신체변형의 아찔함과 유기적인 관계의 아름다움으로 가득찬 앤드류 토마스 홍의 단편 <SOLIPSIST>를 감상해 보자.  






사실 뷔욕의 음악을 열렬히 사랑하는 사람은 아니다. 작년에도 이 앨범을 처음 듣곤 약간의 흥미로움만 발견했을 뿐 이내 목록에서 밀어냈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이 뮤직비디오 만큼은 평생을 두고 씹고 뜨고 맛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즉각적인 판단에 익숙해진 영상세대로서 시각자료와 함께한 첫만남의 긍정적 편견은 숱하게 경험해왔지만 이런 방식으로 영상물의 후광이 음악에 대한 시선을 역전시킨 경험은 얼마 없었다. 비록 일년이 경과한 트랙이지만, 이 뮤직비디오 만큼은 2012년 최고의 작품이라 생각한다. 불안한 아름다움이란 양가감정을 이보다 잘 전달할 수 있을까. 아래 영상은 <Mutual Core>의 뮤직비디오다. 그리고 그 아래에 첨부된건 유튜브 리플을 통해 완성된, 본 뮤직비디오에 대한 앤드류 토마스 홍의 QnA 영상이다. 
















R.E.M. 의 'Blue'는 연출자의 이름에 기댈 수 밖에 없다. 이번 뮤직비디오를 연출한 이는 배우 제임스 프랭코다. <127 시간>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이며 필모의 빛나는 한 순간을 장식했던 그가 이번 작품을 연출했다. 솔직히 말해서 'Blue' 의 뮤직비디오는 큰 매력이 느껴지지 않는다. UCLA, 뉴욕영화학교 학사에 이어 예일에서 박사과정을 진행중인 수재형 배우인 그는 창작에도 끊임없는 욕구를 펼치고 있다. 몇편의 단편과 <브로큰 타워>나 <살> 같은 장편을 통해 꾸준하게 연출경력을 쌓아가곤 있지만 그 재능에 대해선 아직 확신이 서지 않은 상태다. <세러더이 나이트 라이브> 다큐멘터리의 연출에서 부터  <스프링 브레이커스>를 통해 하모니 코린과의 콜라보를 하는 것까지 지켜보고 있으니 정말이지 엄청난 스펙트럼의 취향인인건 분명한듯 싶다. 제임스 프랭코의 필모그래피에서 가장 흥미로운 작품은 구스 반 산트의 <아이다호> 를 재건하며 리버 피닉스에게 존경을 표한 <My own private river>가 아닐까. 가장 평가가 좋은 작품이기도 하고 형식적인 측면에선 비디오 아트의 영역에 편입될만한 신선함이 느껴졌다. 여기 얼마전 공개된 R.E.M. 의 'Blue' 뮤직비디오가 있다. 미국 내에선 제임스 프랭코의 연출보단 린제이 로한의 출연에 더 주목하는 것 같다.







Posted by Alan-Shore :